사람이 사용해야 하는 시스템.. 어떻게 기획해야 할까?..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많은 생각들 속에서 사람의 업무를 도와줄수 있는 그래서 효율성이 높아질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전문적인 IT컨설턴트가 다년간의 경험을 토대로 실제 업무현상을 분석하여
회사의 입장과 실무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시스템 도입을 진행한다면 그만큼 성공가능성은 높아질 것입니다.
- 회사 업무프로세스에 맞춰서 제작되는 시스템 (사람중심시스템)
- 투자비용 대비 높은 효율성과 가치
- 비즈니스 목적에 맞춰 제작되는 시스템
자주 묻는 질문들

위의 답변에서 처럼 도입을 담당할 인력이 IT기술에 대한 이해가 빠르고 전문인력이라면 재고관리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개발업체를 찾으면 될듯 합니다. 반면에 전문인력이 없다면 IT컨설턴트의 도움을 받아서 구축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IT컨설턴트는 회사의 입장에서 필요로한 시스템 요인을 분석하여 개발회사와의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습니다.

어떤 개발방법론을 접목하여 어떤 시스템을 만들까에 따라서 견적은 결정이 됩니다.
난이도가 높은 개발요소가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면 그만큼 인력비용은 증가할것이고, 단순한 개발요인이라 한다면 인력비용은 높지 않을것입니다. 기획/디자인/개발의 요소에서 투입된 인력의 인건비와 재경비, 기술료 등을 토대로 견적을 진행하기때문에 상용시스템이 아니라면 비용은 어느정도는 예상하셔야만 합니다.
수십만원으로도 만들수있지만 수십억으로도 못만들수 있는것이 시스템입니다.
정확하게 필요한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 분석이 가능하다면 견적이 가능하지만, 불가능하다면 회사 예산안을 기준으로 시스템의 범위를 조절해 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꼭필요한 기능이라면 가격이 높더라도 도입을 해야 하지만, 필요없는 기능이라면 아무리 가격이 낮더라도 도입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슷해 보이더라도 더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이라면 그만큼 가격은 올라갈것입니다. 사람의 욕심은 끝이 없습니다. 더 낮은 가격으로 더 좋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싶을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비용을 들인만큼의 가치를 가진 시스템을 얻게 될것입니다.

업무지원시스템이나 재고관리 시스템 등은 개발자 기준으로 7~1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개발인력이 투입됩니다. 해당 업무만을 그 기간동안 진행해온 전문인력들도 1~2개월 이상의 시간을 소요합니다. 비전공자가 틈틈히 공부해서 적용할수 있다면 IT인력들의 연봉이 높을 이유는 없겠죠.. 그 시간에 해당업무에 집중해서 비용을 더 많이 벌고, 그 돈으로 전문인력을 운영하는것이 더 효율적일것입니다.

저렴합니다. 하지만 시스템을 만들고 끝낼 상황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운영하면서 보완을 해야한다면 가능하면 회사를 통해서 진행하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수정이 필요할때 연락이 되지 않거나 취직으로 인해서 프로젝트 진행이 불가능하다면, 다시 개발해야 하는 최악의 경우가 만들어질수도 있습니다